맨위로가기

메트로 2033 (비디오 게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트로 2033''은 2013년 핵전쟁 이후 모스크바 지하철을 배경으로 한 1인칭 슈팅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방사능과 돌연변이로부터 생존하기 위해 지하철 터널과 폐허가 된 지상을 탐험하며, 다양한 무기와 잠입, 자원 관리를 통해 전투를 수행한다. 게임은 서바이벌 호러 요소를 강조하며, 도덕적 선택에 따라 결말이 달라진다. 4A 게임즈가 개발하고 드미트리 글루호프스키의 동명 소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2014년에는 그래픽과 게임 플레이를 개선한 리덕스 버전이 출시되었다. 후속작으로 ''메트로: 라스트 라이트''와 ''메트로 엑소더스''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핵무기를 소재로 한 비디오 게임 - 미사일 커맨드
    미사일 커맨드는 1980년 아타리에서 출시한 아케이드 게임으로, 트랙볼을 사용하여 떨어지는 미사일을 요격해 도시를 방어하며, 냉전 시대 핵전쟁에 대한 불안감을 반영한 배경과 독특한 게임 방식으로 인기를 얻어 상업적 성공과 함께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는 등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핵무기를 소재로 한 비디오 게임 - 메탈 기어 솔리드 3: 스네이크 이터
    메탈 기어 솔리드 3: 스네이크 이터는 2004년에 출시된 잠입 액션 게임으로, 네이키드 스네이크가 되어 다양한 무기와 위장 시스템, CQC를 활용하여 소련 열대 숲에서 임무를 수행하며 1960년대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스토리를 전개한다.
  • 시리즈별 SF 소설 - 메트로 2034
    드미트리 글루호프스키의 포스트 아포칼립스 소설 메트로 2034는 전작 메트로 2033의 1년 후 모스크바 지하철을 배경으로 세바스토폴스카야 역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다양한 인물들의 시점으로 다루며 역병, 폭력성, 구원 등의 주제를 탐구하고 러시아 내에서 큰 인기를 얻어 예술 프로젝트로 확장되었다.
  • 시리즈별 SF 소설 - 메트로 2033
    드미트리 글루홉스키의 소설 메트로 2033은 핵전쟁 이후 모스크바 지하철을 배경으로 살아남은 사람들의 생존, 갈등, 그리고 주인공 아르티옴의 여정을 그린 이야기로,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으나 영화 프로젝트는 난항을 겪었다.
  • 전쟁 게임 - 메트로 엑소더스
    메트로 엑소더스는 아르툠이 되어 모스크바 지하에서 나와 러시아 황무지를 여행하며 돌연변이와 싸우는 1인칭 슈팅 게임으로, 넓은 레벨과 탐험 요소를 강화하여 자유로운 탐험과 다양한 임무 접근이 가능하다.
  • 전쟁 게임 - 스트라테고
    스트라테고는 각 플레이어가 숨겨진 병력을 배치해 상대방의 깃발을 점령하는 보드 게임으로, 불완전 정보와 심리전 요소가 특징이며 다양한 버전과 대회가 존재한다.
메트로 2033 (비디오 게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메트로 2033
시리즈메트로
장르1인칭 슈팅 게임
생존 공포 게임
개발
개발사4A 게임즈
디렉터앤드류 프로코로프
디자이너비야체슬라프 아리스토프
프로그래머올레스 시시코프스토프
알렉산드르 막심추크
알렉세이 부이니츠키
아티스트안드레이 트카첸코
작가드미트리 글루홉스키
앤드류 프로코로프
비야체슬라프 아리스토프
작곡가알렉세이 오멜추크
게오르기 벨로글라조프
엔진4A 엔진
출판
배급사THQ
딥 실버 (Redux 버전)
출시
최초 출시2010년 3월 16일
플랫폼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Xbox 360
PlayStation 4
Xbox One
닌텐도 스위치
리눅스
macOS
Stadia
기타 정보
모드싱글 플레이어
이용 등급ESRB: M
OFLC: 15+
PEGI: 16
USK: 18
KMRB: 발매 불가 (해외판 구매 요망)
후속작메트로: 라스트 라이트

2. 게임플레이

''메트로 2033''은 1인칭 슈팅 게임(FPS) 비디오 게임이다.[49] 게임의 주 무대는 모스크바 지하철 터널이며, 일부 구간에서는 폐허가 된 모스크바 지상을 탐험하기도 한다.[1] 이야기는 선형적인 싱글 플레이어 캠페인을 따라 진행되며,[41] 중요한 줄거리의 전환점은 컷신을 통해 전달된다.[2]

게임 플레이는 서바이벌 호러 요소가 강하게 가미된 FPS 방식이다. 플레이어는 제한된 탄약과 자원을 관리하고, 어둠 속에서는 손전등과 충전기를 활용해야 하며, 방사능 오염 지역에서는 방독면과 필터에 의존하는 등 생존을 위한 전략적인 판단이 중요하다.[41][42][7] 화면에 표시되는 게임 정보(HUD)를 최소화하여 몰입감을 높였으며, 탄약 잔량 확인 등 필요한 정보는 플레이어가 직접 장비를 확인하거나 소리, 시각적 단서를 통해 얻어야 한다.[4] 전쟁 전에 생산된 고급 5.45×39mm 탄약은 '군용 탄약'으로 불리며, 강력한 화력을 제공할 뿐 아니라 게임 내 화폐로도 사용되어 무기 구매 및 업그레이드에 쓰인다.[41][5][43] 또한, 게임 진행 중 플레이어의 특정 행동은 도덕적 선택으로 간주되어 게임의 결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8]

원작 소설의 설정을 충실히 반영하여 "탄약을 화폐로 사용", "오염된 지상에서의 방호 필요성", "수동 발전식 손전등" 등을 게임 시스템으로 구현했다. 이는 단순한 게임 요소를 넘어, 원작의 암울한 세계관과 생존 투쟁을 플레이어가 직접 체험하게 하는 연출로 작용한다. 멀티플레이어 모드는 지원하지 않고 싱글 플레이어 경험에 집중했으며, 당시 기준으로 높은 수준의 그래픽과 음향 효과를 통해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2. 1. 전투 시스템

''메트로 2033''의 게임 플레이 스크린샷. 터널은 종종 어둡게 조명되며, 플레이어는 어둠 속에서 보기 위해 손전등을 사용해야 한다.


''메트로 2033''은 1인칭 슈팅 게임 방식으로 진행된다.[49] 플레이어는 인간 적이나 돌연변이와 다양한 총기를 사용하여 싸우게 된다. 게임에는 리볼버, 돌격 소총, 산탄총과 같은 일반적인 무기 외에도 압축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총이나 석궁 같은 독특한 무기도 등장한다.[48]

전투 시 인간형 적들은 엄폐물을 활용하고 플레이어의 측면을 노리는 전술을 사용하며,[46] 돌연변이 적들은 주로 엄폐 없이 플레이어에게 달려들어 공격한다. 총격전 외에도 잠입 게임 요소를 활용하여 적을 피해 가거나 조용히 제거할 수도 있다.[3] 투척용 칼을 던지거나 소음기가 부착된 무기를 사용하여 소리 없이 적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42]

플레이어의 체력은 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회복되지만, 메드킷 아이템을 사용하여 즉시 회복할 수도 있다.[41] 게임 화면에는 최소한의 정보만 표시되며(HUD), 게임 플레이에 필요한 정보는 소리나 시각적 단서를 통해 전달된다. 예를 들어, 탄약이 얼마나 남았는지 확인하려면 직접 무기를 살펴보아야 한다.[4]

서바이벌 호러 장르의 특징을 살려 게임 내에서 탄약은 항상 부족한 편이며, 플레이어는 주변 환경이나 쓰러뜨린 적에게서 꾸준히 보급품을 찾아야 한다.[41] 특히 핵전쟁 이전 시대에 생산된 5.45×39mm 탄약은 게임 내에서 '군용 탄약'으로 불리며, 지하철 세계의 주요 화폐로 사용된다.[41] 이 군용 탄약은 다른 무기나 업그레이드를 구매하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직접 무기에 장전하여 일반 탄약보다 더 강력한 위력을 내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5][43]

대부분의 터널은 매우 어둡기 때문에 손전등 사용이 필수적이다.[41] 손전등은 계속 사용하면 빛이 약해지므로, 휴대용 충전기를 이용해 주기적으로 충전해야 한다.[7] 또한, 지상이나 핵 낙진으로 오염된 지하 구역을 탐험할 때는 방독면을 착용해야 한다.[42] 방독면은 전투 중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손상되면 제 기능을 못하므로 새것으로 교체해야 한다.[46] 방독면의 공기 필터 역시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생존할 수 있으며, 남은 시간은 손목시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6][7] 이 외에도 어둠 속에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야간 투시경도 존재하며, 이 역시 충전이 필요하다.

주요 무기 목록
분류무기명설명비고
권총리볼버위력이 높은 회전식 권총. 다양한 개조 모델 존재 (소음기, 롱 배럴, 스톡, 스코프 등).
기관단총/소총바스타드 서브머신건아모리 역에서 제조된 수제 기관총. 정밀도 낮고 과열되기 쉬움. 보탄판 장전 방식. 소음기 모델 존재."바보 머신건"이라고 불림.
AK-74중반 이후 주력 소총. 스코프 모델 존재.게임 내에서는 AK-47로 오기되기도 함. 실제 사용 탄약은 5.45mm.
VSV소음기 내장 자동 소총. 레이저 사이트 장착. 정밀도 높음. 스코프 모델 존재.장탄수 20발.
KALASH 2012오리지널 불펍 방식 소총. AK-74보다 개선됨. 스코프/소음기 모델 존재.장탄수 40발. 실제 AK-12와는 다른 디자인.
산탄총더블 배럴 샷건근거리 위력 강력. 2발 동시 발사 가능.장탄수 2발.
오토매틱 샷건6연발 벨트식 탄창. 독특한 재장전 방식. 총검 부착 모델 존재.
헤비 오토매틱 샷건벨트 급탄식 자동 샷건. 외형은 DShK와 유사.일본판 기본 포함, 타 지역은 Ranger Pack DLC 필요.
특수 무기티하르압축 공기로 금속 탄환을 발사하는 공기총. 수동 공기 압축 필요. 압력 게이지 확인. 스코프 모델 존재.풀 오토 발사 가능.
헬싱압축 공기로 화살을 발사하는 연장식 석궁. 수동 공기 압축 필요. 압력 게이지 확인. 스코프 모델 존재.화살 재사용 가능. 위력 높음.
볼트 드라이버전기로 탄환을 발사하는 가우스건. 수동 배터리 충전 필요. 근접 공격 가능.Ranger Pack DLC 필요. 티하르와 탄환 공유.
근접 무기나이프트렌치 나이프 형태 (너클 더스터 + 나이프). 구타 가능.아르툠의 수제품 설정.
투척 무기스로잉 나이프소음 암살용 투척 단검. 재사용 가능.방어구를 착용한 적에게는 효과가 없을 수 있음.



게임 플레이 중 특정 상황에서 도덕적인 선택을 할 기회가 주어진다. 예를 들어, 터널에서 만나는 어려운 처지의 사람들에게 도움(군용 탄약 제공 등)을 주면 게임의 결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으므로, 플레이어는 이를 인지하지 못한 채 게임을 진행할 수도 있다.[8]

2. 2. 자원 관리

이 게임은 서바이벌 호러 장르의 특징을 살려 자원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플레이어는 종종 탄약이 부족한 상황에 놓이며, 주변 환경이나 쓰러진 적들로부터 필요한 물품을 꾸준히 찾아야 한다.[41]

게임 내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 중 하나는 전쟁 전에 생산된 5.45×39mm 탄약으로, 이는 '군용 탄약'이라 불리며 모스크바 지하철 세계의 주요 화폐로 사용된다.[41] 이 군용 탄약은 새로운 무기를 구매하거나 기존 장비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5] 또한, 일반 탄약보다 훨씬 강력한 위력을 가지고 있어 전투 시 직접 발사하여 위기 상황을 극복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43] 하지만 군용 탄약을 발사하는 것은 곧 돈을 쏘는 것과 같기 때문에, 전략적인 판단과 신중한 관리가 요구된다.[5][43]

핵 낙진으로 오염된 지상이나 지하의 특정 구역을 탐험하기 위해서는 방독면 착용이 필수적이다.[42] 방독면은 전투 중에 손상될 수 있으며, 유리가 깨지거나 금이 가면 즉시 다른 방독면을 찾아 교체해야 한다.[46] 방독면의 필터는 시간이 지나면 효력을 잃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생존할 수 있다. 필터의 남은 사용 시간은 아르티옴의 손목시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6][7]

이 외에도 어두운 터널을 밝히기 위한 손전등은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충전해야 계속 사용할 수 있으며,[7] 부상을 입었을 때는 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회복되지만, 메드킷(구급 상자)을 사용하여 즉시 체력을 회복할 수도 있다.[41]

2. 3. 환경 요소



''메트로 2033''의 주 무대는 모스크바 지하철 터널과 모스크바의 폐허가 된 지상이다.[1] 대부분의 터널은 빛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기 때문에[41], 플레이어는 어두운 지역을 탐험하기 위해 손전등이나 라이터를 사용해야 한다.[41] 머리에 장착하는 손전등(헤드라이트)은 계속 사용하면 빛이 약해지므로, 효과를 유지하려면 휴대용 배터리 충전기(만능 충전기)로 주기적으로 충전해야 한다.[7] 어둠 속을 조명 없이 보기 위한 야간 투시경도 존재하지만, 손전등보다 전력 소모가 심하며 마찬가지로 충전이 필요하다.

지하와 지상 모두 핵 낙진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 존재하며, 이러한 오염 지역을 탐험하기 위해서는 방독면 착용이 필수적이다.[42] 방독면은 전투 중에 손상될 수 있어 기밀성이 떨어지면 위험해지므로, 손상 시 교체품을 찾아야 한다.[46] 또한 방독면 필터는 시간이 지나면 효능을 잃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생존할 수 있다. 필터의 남은 시간은 아르티옴의 손목시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6][7]

2. 4. 도덕적 선택

게임의 결말은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원작 소설 메트로 2033과 대체로 비슷한 결말과 원작과는 완전히 다른 결말, 이렇게 두 가지 엔딩이 준비되어 있다.

3. 시놉시스

2033년모스크바를 무대로 한다. 수십 년 전 발발한 최종 전쟁으로 지상은 오염되어 인간이 살 수 없게 되었고, 사람들은 메트로라 불리는 지하철 역과 터널에서 살아남았다. 그러나 지하 생활은 높은 방사능 수치뿐만 아니라, 돌연변이로 나타난 괴물들의 위협에 끊임없이 노출되어 있었다. 생존자들에게 메트로는 마지막 남은 생활 터전이자 사회 기반이었다.

모스크바 외곽에 위치한 "전시회역"에는 아르툠이라는 청년이 살고 있었다. 전시회역은 '다크 원'이라 불리는 신종 뮤턴트들의 잦은 습격으로 존망의 위기에 처해 있었다. 아르툠은 자신이 나고 자란 전시회역을 구하기 위해, 메트로 중심부의 지하 도시인 "폴리스"로 도움을 요청하는 위험한 여정을 떠나게 된다.

3. 1. 배경 설정

''메트로 2033''은 2013년에 발생한 전 세계적인 핵 참사 이후 20년이 지난 2033년러시아 모스크바를 배경으로 한다. 핵전쟁으로 인해 지상은 방사능에 오염되었고, 치명적인 돌연변이들이 들끓는 황무지로 변해버려 보호 장비 없이는 인간이 살 수 없는 곳이 되었다.[9] 지상 도시는 완전히 폐허가 되었으며, 공기와 물은 방사능에 오염되었고 대부분 지역이 얼음과 눈으로 뒤덮여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지상에는 '다크 원'을 비롯한 수많은 돌연변이들이 서식하고 있다.

원작 소설가 드미트리 글루홉스키.


살아남은 소수의 인류는 모스크바 지하철(메트로)의 역과 터널을 미로처럼 연결하여 그곳에서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고 있다.[9] 메트로는 단순한 피난처를 넘어, 생존자들이 마지막으로 의지하는 생활 터전이자 사회 기반 시설이 되었다. 하지만 지하철 내부 역시 안전하지만은 않다. 식량, 물, 각종 보급품은 항상 부족하며, 시설은 점점 노후화되고 있다. 일부 지역은 여전히 높은 방사능 수치를 보이거나 물에 잠겨 있으며, 특정 문이나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범용 충전기가 필요한 곳도 있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접근하는 사람들에게 정신적 피해를 입히는 원인 불명의 변칙 현상이나 초자연적인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자원이 부족한 극한 환경 속에서 생존자들은 여러 세력으로 나뉘어 대립하거나 협력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 중에서도 "한자", "붉은 라인", "오더의 레인저"와 같은 세력이 대표적이다. 게임은 전반적으로 암울하고 우울한 분위기를 유지하며, 핵전쟁 이후 살아남은 사람들의 비참하고 절박한 삶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 게임의 설정은 러시아 작가 드미트리 글루홉스키가 2002년 인터넷에 연재를 시작하여 2005년에 서적으로 출판한 동명의 종말물 SF 소설 『메트로 2033』에 기반한다.[64] 원작 소설은 문명이 붕괴된 지하 세계의 모습과 사회 구조, 세계가 멸망한 후에도 다툼을 멈추지 않는 인간 군상, 오컬트와 과학이 뒤섞인 메트로 안팎의 불가사의한 현상과 생태계, 그리고 절망 속에서도 어떻게든 살아남으려는 사람들의 모습을 섬세하게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소설은 러시아 내에서 50만 부 이상 판매되었고[65] 20개국 이상에서 번역되었으며, 2007년 유럽 SF 협회(Eurocon)에서 장려상을 수상하기도 했다.[66]

작중 해외 상황에 대한 정보는 단편적이고 불분명하게 제시된다. 게임 초기에는 폴랸카 역의 인물 대사를 통해 "미국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언급이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후속작인 '메트로: 엑소더스'에서는 G7 국가를 포함한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남미 등 여러 대륙에 생존자들이 거주하는 도시가 존재하며, 방사능 오염의 영향이 없는 지역도 있음이 밝혀진다. 예를 들어 스페인이나 일본도호쿠 지방 등에도 생존 도시가 남아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소설을 기반으로 확장된 '메트로 2033 유니버스' 설정에 따르면, 핵전쟁 이후 전 세계 생존 인구는 약 1억 명 정도로 추산된다. 서유럽을 중심으로 새로운 빙하기가 시작되었으며, 사하라 사막이 정글화되고 베네치아가 사막화되는 등 급격한 환경 변화가 나타난다. 일본 열도는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대부분 침몰했을 가능성이 시사된다. 이 확장 세계관에서 생존자가 확인된 지역은 다음과 같다.



* 키예프와 하리코프는 현재 우크라이나의 주요 도시이나, 원문 소스에서는 러시아 관련 지역과 함께 나열되어 있어 해당 분류에 포함하여 표기함. 역사적, 지리적 맥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3. 2. 등장인물

; 아르툠

: 테라소마 마사키[67]

: 본편의 주인공. 핵전쟁 이후 지상에서 태어났지만 어린 시절부터 메트로에서 살아온 20세 청년이다. 독서를 좋아하며, 평소에는 자신이 사는 박람회역에서 감시탑 근무와 차(茶) 공장 일을 번갈아 하며 지낸다.[67] 대부분의 시간을 박람회역 주변에서 보냈기에 세상 물정에 어둡고 다소 소심한 면도 있지만, 위험한 모험을 동경하기도 한다.[67] 정예 대원 '헌터'의 부탁으로, 정체불명의 돌연변이 '다크 원'의 위협을 알리기 위해 메트로의 중심 도시 폴리스로 여정을 떠나게 된다.[67] 게임에서는 레인저의 일원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원작 소설과 달리 막간의 독백을 제외하고는 거의 말을 하지 않는다.[67]

; 알렉세이

: 아르툠의 양아버지이자 박람회역의 관리 책임자 겸 보안관이다. 원작 소설에서는 '''사샤'''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젊은 시절 아르툠의 어머니 부탁으로 그를 맡아 키웠다.[67] 연이은 다크 원의 습격과 늘어나는 문제들로 지쳐있다.[67]

; 헌터

: 노무라 켄지[67]

: 알렉세이의 친구이자 정예 레인저. '헌터'는 직책명이며 본명은 불명이다.[67] 다크 원의 위협을 조사하러 북쪽 터널로 떠나기 전, 아르툠에게 만약 자신이 돌아오지 못하면 폴리스의 밀러 대령에게 상황을 전하라는 부탁과 함께 자신의 인식표를 맡긴다.[67] 이후 실종된다.[67]

; 부르봉

: 후쿠마츠 신사[67]

: 아르툠이 리가역에서 만나는 중년의 상인. 폴리스로 향하는 아르툠과 잠시 동행한다.[67] 게임에서는 외부 세계에 익숙하지 않은 아르툠을 걱정하는 모습을 보인다.[67] 이후 강도들에게 살해당한다.

; 칸

: 타카세 우코[67]

: 아르툠 앞에 나타난 신비주의자. 스스로를 칭기즈 칸의 환생이라 칭한다.[67] 영적인 능력을 지녔으며, 아르툠이 위험한 터널과 분쟁 지역을 통과하도록 돕는다.[67]

; 밀러

: 마미야 야스히로[67]

: 폴리스에 주둔하는 레인저 부대의 대령이자 지휘관. 원작 소설에서는 '''메리니크'''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헌터의 지인이기도 하다.[67] 다크 원이 메트로 전체의 위협이라 판단하고 아르툠을 적극적으로 돕는다.[67] D6 미사일 기지를 이용해 다크 원을 섬멸하려는 계획을 세운다.

; 울만

: 오쿠다 히로토[67]

: 밀러 대령의 부하 레인저. 게임 중반부터 등장하여 아르툠과 함께 행동한다.[67] 원작 소설의 '''우리만'''에 해당하며, 아르툠과 비슷한 나이지만 경험이 풍부하다.[67] 게임에서는 원작과 달리 가벼운 농담을 자주 하는 성격으로 묘사된다.[67]

; 파벨

: 후쿠마츠 신사[67]

: 울만과 함께 행동하는 레인저. 게임 중반에 등장하여 네오 나치에게 붙잡힌 아르툠을 구출한다.[67] 이후 아르툠과 잠시 동행하지만, 원작 소설과 달리 도중에 사망한다.[67]

; 앤드류

: 아모리역의 대장장이이자 칸의 친구. 공산주의자들에게 쫓기는 아르툠을 숨겨준다.[67]

; 블라디미르

: 폴리스의 레인저 대원. 무기고 관리인이자 기술자 역할을 하며, 우샨카를 쓰고 있다.[67] D6의 미사일 발사 및 제어를 담당한다.[67]

; 스테판, 보리스

: 폴리스 소속 레인저 대원들. 아르툠 일행과 함께 D6로 진입하지만, 돌연변이의 습격으로 둘 다 사망한다.[67]

; 유진

: 마미야 야스히로[67]

: 아르툠의 친구. 리가역으로 향하는 캐러밴에 동행했다.[67]

; 사셴카

: 돌연변이의 습격으로 파괴된 역의 생존자 소년. 아르툠이 폴리스로 가던 중 구출하게 된다.[67]

; 다닐라

: 게임에서는 레인저의 일원으로 등장하며 끝까지 살아남는다.[67] 원작 소설에서는 폴리스의 학자 계급으로 아르툠과 교류하는 인물이다.[67]

'''적대 세력'''

; 약탈자

: 메트로 내에서 상인 등을 약탈하며 살아가는 무장 강도 집단. 게임 초반부에 주로 등장한다.[67]

; 공산주의자 (적색 라인)

: 붉은 군대의 후예를 자처하는 세력. 게임 중반부에 적으로 등장한다.[67]

; 파시스트 (제4제국)

: 나치를 추종하는 세력. 인종차별적인 성향을 보인다. 게임 중반부터 후반까지 적으로 등장한다.[67]

'''돌연변이'''

; 노살리스

: 게임에서 가장 흔하게 등장하는 돌연변이. 네 발로 걷지만 손발이 있으며, 매우 빠르고 무리를 지어 공격한다. 머리가 약점이다.[67] 날개 달린 아종도 존재한다.[67]

; 하울러

: 지상에 주로 나타나는 늑대와 닮은 네 발 돌연변이. 노살리스와 행동 방식이 유사하다.[67]

; 러커

: 털 없는 개처럼 생긴 돌연변이. 땅굴을 파고 숨어 있다가 여러 방향에서 기습한다. 내구력은 약한 편이다.[67]

; 라이브러리안

: 러시아 국립도서관에 서식하는 고릴라와 유사한 대형 돌연변이. 매우 강력하지만, 눈을 계속 마주치면 공격하지 않고 물러나는 습성이 있다 (항상 통하지는 않음).[67] 원작 소설의 '사서'에 해당한다.[67]

; 데몬

: 날개를 가진 비행 돌연변이. 소리 없이 접근하여 인간을 낚아채 간다. 매우 강력한 힘을 가졌다.[67]

; 아메바

: D6 기지 깊숙한 곳에 등장하는 슬라임 형태의 돌연변이. 무리지어 자폭 공격을 한다.[67]

; 다크 원

: 원작 소설의 '초르니(검은 존재)'에 해당하는 신종 돌연변이. 검은 피부와 큰 눈을 가졌으며, 텔레파시 능력을 사용해 인간의 정신에 직접 간섭하고 환각을 보여준다.[67] 박람회역을 지속적으로 공격하며 이야기의 중심 갈등을 일으킨다.[67]

3. 3. 줄거리

2013년, 핵전쟁으로 지구는 파괴되었고 모스크바 역시 폐허가 되었다. 소수의 생존자들은 메트로 시스템에 숨어들었다. 지상은 방사능으로 오염되었고 동물들은 끔찍한 괴물로 변이했다. 메트로 내부에서는 스탈린주의를 따르는 '붉은 라인'과 나치즘을 따르는 '제4제국' 같은 세력들이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고, 레인저들은 중립적인 평화 유지 세력으로 활동했다.

2033년, 북쪽의 VDNKh(통칭 '전시')는 '다크 원'이라 불리는 신비한 생물체들의 공격을 받는다. 엘리트 레인저인 헌터는 역장의 양아들인 24세 생존자 아르툠(Артём|아르툠ru)에게 다크 원을 추적하러 가기 전, 자신이 돌아오지 못하면 메트로의 "수도"인 폴리스에 있는 상관에게 자신의 군번줄을 전달하라는 임무를 맡긴다.

다음 날, 아르툠은 인접 역인 리가로 향하는 캐러밴의 경비병으로 합류한다. 도중 다크 원의 정신 공격을 받지만 아르툠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리가에 도착한 아르툠은 폴리스로 데려다주겠다는 밀수업자 부르봉을 만난다. 여러 역과 터널, 심지어 모스크바 지표면까지 거치며 이동하지만, 부르봉은 강도에게 살해당한다. 이후 신비주의자인 칸이 아르툠을 구출하고, 귀신 들린 터널과 교전 중인 역들을 통과하며 아르툠을 호위한다. 칸은 아르툠에게 붉은 라인의 통제를 받는 대장장이 앤드루를 찾아가 도움을 받으라고 조언한다. 앤드루의 도움으로 붉은 라인 영토를 몰래 빠져나가지만, 아르툠은 곧 붉은 라인의 적인 네오 나치 제4제국에게 체포된다.

처형될 위기에 처한 아르툠은 레인저인 파벨과 울만에게 구출된다. 파벨은 아르툠을 제4제국 영토 밖으로 호위하다가 사망한다. 홀로 남겨진 아르툠은 돌연변이 무리로부터 폴리스를 지키려는 생존자 그룹을 만나지만 방어선은 무너진다. 아르툠은 어린 소년 한 명을 구출하고 생존자들의 도움으로 지표면으로 탈출하여 울만과 재회하고, 마침내 폴리스에서 레인저 대령 밀러를 만난다.

폴리스 통치 위원회는 VDNKh 지원을 거부한다. 하지만 밀러는 아르툠에게 D6라는 오래된 미사일 기지를 이용해 식물원 근처에 있는 다크 원들의 둥지를 파괴할 계획이 있음을 밝힌다. D6의 위치를 찾기 위해 아르툠은 밀러의 지시에 따라 러시아 국립 도서관으로 향하고, 그곳에서 돌연변이들을 피해 지도를 찾아낸다. 밀러와 울만의 도움으로 탈출한 아르툠은 레인저로 합류하여 D6 지휘 센터를 찾아 재활성화하는 작전에 참여한다. 작전 성공 후, 아르툠과 밀러는 오스탄키노 타워 꼭대기에 올라 미사일 유도를 위한 레이저 유도 시스템을 설치한다. 설치 직후, 아르툠은 다크 원이 보낸 것으로 보이는 생생한 환각을 경험한다.

환각 이후, 게임 진행 중 플레이어의 도덕적 선택에 따라 두 가지 결말 중 하나를 맞이하게 된다.

  • 정식 결말: 아르툠은 미사일 발사 시스템을 작동시켜 다크 원들을 몰살시킨다.
  • 대체 결말: 아르툠은 다크 원들이 사실 파괴가 아닌 평화적인 접촉을 시도하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고 레이저 유도 장치를 파괴하는 선택을 할 수 있다. 이 결말은 게임을 진행하며 동료 인간을 돕거나, 환각 속에서 다크 원에게 적대적으로 행동하지 않는 등 특정 조건을 만족했을 경우에만 가능하다.

4. 세계관



게임 '메트로 2033'의 세계관은 드미트리 글루홉스키의 동명 소설을 기반으로 하며, 2013년 발생한 전 세계적 핵전쟁(최종 전쟁) 이후 폐허가 된 러시아 모스크바모스크바 지하철을 주 무대로 삼는다.[9] 지상은 방사성 물질 오염으로 사람이 살 수 없는 곳이 되었고, 생존자들은 지하철에 터전을 잡았다.[9]

원작 소설은 돌연변이(뮤턴트)의 위협 속에서 살아가는 청년 아르티옴이 도움을 구하기 위해 지하 도시 폴리스로 향하는 여정을 그린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사상과 이념을 가진 사람들을 만나며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을 다룬다. 소설은 문명 붕괴 후 지하 세계의 생활, 끝나지 않는 인간의 갈등, 오컬트와 과학이 뒤섞인 기현상, 생존을 위한 투쟁 등을 섬세하게 묘사하며 러시아 내에서 50만 부 이상 판매되었고[65], 20개국 이상에서 번역 출판되었다.[64] 2007년 유럽 SF 협의회(Eurocon)에서 장려상을 수상했다.[66]

게임 시리즈, 특히 엑소더스에서는 세계관이 확장되어 모스크바 외 다른 지역에도 생존자들이 있음이 밝혀진다. G7 국가,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스페인 등), 남미 대륙의 도시들과 일본 도호쿠 지방 등지에 도시가 존속하며 방사능 오염이 없는 지역도 존재한다. 다만, 초기 작품에서는 미국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언급도 있어 시리즈 내 설정 차이가 일부 존재한다.

해외판 소설 시리즈 '언더그라운드 2033 유니버스'에서는 전 세계 생존 인구가 약 1억 명으로 추정되며, 서유럽 중심의 빙하기 시작, 사하라 사막의 정글화, 베네치아의 사막화 등 환경 변화가 묘사된다. 생존이 확인된 주요 지역은 다음과 같다.



게임의 시작 지점인 박람회역(ВДНХ)의 실제 지상 입구


다양한 세력이 공존하는 키타이 고로도역의 실제 모습


뮤턴트가 들끓는 지상 지역 중 하나인 실제 노비 아르바트 거리


모스크바 지하철은 각 역이 독립적인 공동체나 세력을 이루어 존재하며, 게임의 주요 무대가 된다. 주요 장소는 다음과 같다.

  • 박람회역: 정식 명칭 "국민 경제 성과 박람회역"(약칭 ВДНХ|베데엔하ru). 게임에서는 "전시회역"으로 등장. 아르티옴의 고향으로, 버섯 차가 유명하며 전쟁 전의 책들이 남아있는 문화적 중심지 중 하나. 북쪽 터널에서 '쵸르니'(검은 존재)의 습격을 받아 위기에 처해 있다.
  • 리지스카야역: 박람회역 남쪽에 위치한 상업 중심 역. 게임에서는 "리가역"으로 등장.
  • 평화 거리역: 환상선에 있는 역으로, 리지스카야보다 상업이 더 번성. 게임에서는 "마켓역"으로 등장.
  • 키타이 고로도역: 독립 세력의 역으로 활기차지만 치안이 매우 나쁘다. 슬라브인과 코카서스계(주로 체첸인, 아제르바이잔인) 세력으로 나뉘어 있다.
  • 푸시킨스카야역, 트베르스카야역, 체호프스카야역: 파시스트 집단 "제4제국"이 지배하는 역들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 파벨레츠카야역: 환상선 역 중 하나로, 방호벽 부재로 방사능 오염 공기가 유입되고 밤마다 뮤턴트가 출몰하는 위험한 역. 주민 대부분이 중증 피폭자이다.
  • 폴랸카역: 폴리스 앞에 위치한 무인 역. 선택받은 자만이 신의 사자를 만날 수 있다는 전설이 있다.
  • 폴리스: 4개 역(볼로비츠카야, 레닌 도서관, 알렉산드로프스키 정원, 아르바츠카야)이 연합한 메트로 최대 도시 국가. 풍요롭고 강력한 군대와 문화를 갖추었다. (상세 내용은 세력 및 단체 참조)
  • 러시아 국립 도서관: 지상에 위치. '사서'라 불리는 존재가 지배하며, 세상의 모든 역사가 적힌 책이 있다는 전설이 있다.
  • 크렘린: 지상에 위치. 첨탑의 붉은 별을 보면 끌려들어가 돌아올 수 없다는 소문이 있다. 국립 도서관으로 가기 위해 통과해야 한다.
  • 노비 아르바트 거리: 지상 거리. 무수한 뮤턴트가 서식하는 위험 지역.
  • 키예프스카야역: 환상선 역 중 하나. 실종 사건이 빈발한다.
  • 승리 공원역: 키예프스카야 옆 역. '위대한 뱀'을 숭배하는 야만인(식인족)들이 거주한다. (상세 내용은 세력 및 단체 참조)
  • D6, 메트로 2호선: 전쟁 전 비밀리에 건설된 노선으로 숨겨진 미사일 기지로 이어진다. 게임에서는 D6이 기지 명칭이다. 아르티옴 일행이 쵸르니의 둥지를 파괴하기 위해 찾는다.
  • 식물원역: 박람회역 북쪽의 무인 역. 쵸르니의 둥지로 추정된다.
  • 오스탄키노 타워: 박람회역 근처의 거대 전파탑. 쵸르니 둥지의 좌표를 알리기 위해 마지막으로 방문하는 장소.

4. 1. 용어 및 설정

;최종 전쟁

: 서기 2013년에 일어난 전 세계적인 핵전쟁을 의미한다.[9] 이 전쟁으로 지상은 방사성 물질에 심각하게 오염되어 사람이 살 수 없는 황무지로 변했고, 살아남은 소수의 러시아 모스크바 시민들은 지하로 숨어들어가 모스크바 지하철에서 생활하게 되었다.[9]

;모스크바 지하철

: 세계 최대 규모의 핵 쉘터로 설계된 덕분에 최종 전쟁 이후 생존자들의 터전이 된 곳이다. 2033년 기준으로 약 4만 명의 사람들이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쟁 직후에는 통일된 관리 체계가 있었으나 곧 붕괴되어 무정부 상태에 빠졌고, 이후 각 역은 전직 메트로 직원 등의 주도로 독립적인 도시 국가처럼 운영되고 있다. 역끼리 동맹을 맺어 하나의 국가처럼 기능하기도 하지만, 여러 세력이 대립하거나 아예 무법 지대 또는 돌연변이가 점령한 무인역도 많다. 환승역의 경우, 노선별로 다른 세력이 지배하기도 한다. 지하철 시설은 전반적으로 노후화되었고, 일부 지역은 방사능에 오염되거나 잔해로 막혀 있으며, 특정 문이나 스위치를 작동시키려면 별도의 충전 장치가 필요하다.[9]

;돌연변이

: 최종 전쟁 이후 지상의 방사선에 노출되어 유전자가 변형된 동식물들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단순히 크기가 커진 것부터 기괴한 형태로 변형된 것까지 종류가 다양하며, 대부분 인간에게 매우 적대적이다. 이들은 오염된 대기와 함께 인류가 지상에서 살 수 없게 만드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9]

;스토커(Stalker)

: 방호 장비를 갖추고 위험한 지상으로 올라가 생존에 필요한 물자들을 조달해오는 임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고도의 전투 능력을 갖추었으며, 지하철 사회에서 가장 존경받는 직업 중 하나로 여겨진다. 게임판에서는 직접적인 등장보다는 활동 흔적 위주로 묘사된다.

;자유 상인

: 역과 역 사이를 자유롭게 오가며 물건을 거래하는 상인들이다. 이들 덕분에 메트로 내부에 다양한 물품이 유통될 수 있다. 터널 안은 위험하기 때문에 대부분 스스로를 지킬 무장을 하고 있으며, 메트로 곳곳의 소문을 퍼뜨리는 역할도 한다.

;괴현상(아노말리)

: 지하철 터널이나 지상의 특정 장소에서 발생하는 설명하기 어려운 기묘한 현상들을 말한다. 원작 소설에서는 정신을 혼란시키는 소리, 과거의 환영, 크렘린의 붉은 별을 보면 빨려 들어가는 현상 등이 묘사된다. 게임판에서는 '아노말리(Anomaly)'라고 불리며, 강한 전기를 띤 빛의 구체나 죽은 자들의 유령과 같은 시각적인 현상으로 주로 나타난다.[9]

4. 2. 세력 및 단체

; 한자

: 순환선의 역들이 동맹을 맺어 형성된 세력이다. 메트로 내에서 가장 부유한 세력 중 하나로, 엄격한 통행 관리와 경비 체계를 갖추고 있다. 자유 상인이나 일부 스토커가 소지한 특별 허가증이 있어야만 출입이 가능하다. 과거 레드 라인과 전쟁을 치른 경험이 있다. 이름은 중세 유럽의 도시 동맹인 한자동맹에서 유래했으며, 공식 명칭이 있지만 통칭으로 '한자'가 널리 쓰인다.

; 레드 라인 (공산주의자)

: 소콜니체스카야 선의 대부분 역을 지배하는 세력이다. 공산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메트로 사회의 재건을 추구하며, 점령한 역들의 이름을 공산주의와 관련된 명칭으로 변경했다. 게임에서는 제4제국과 전쟁 상태에 있다.

; 제4제국 (파시스트)

: 슬라브인 혈통만을 우월하게 여기고 타 인종을 배척하는 극단적인 인종 차별주의자들의 집단이다. 이들은 스스로를 네오 나치와 유사한 이념을 가진 '제4제국'이라 칭하지만, 역사적인 나치 독일과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푸시킨스카야, 트베르스카야, 체호프스카야 역을 거점으로 삼고 있으며, 게임 내에서는 레드 라인과 격렬한 전쟁을 벌이고 있다.

; 레인저 (오더의 레인저)

: 게임판 설정에 등장하는 특수 조직이다. 이들은 주로 지상이나 위험한 터널 등 역 외부 환경을 정찰하고 감시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동시에 각 역 내부의 질서 유지와 치안을 담당하는 경찰과 유사한 역할을 맡는다.[9]

; 폴리스

: 메트로의 중심부에 위치한 볼로비츠카야, 레닌 도서관, 알렉산드로프스키 정원, 아르바츠카야의 4개 역이 연합하여 형성된 도시 국가이다. 메트로 내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강력한 세력으로 평가받는다. 풍부한 자원과 잘 훈련된 군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비교적 안정된 치안과 높은 수준의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 혁명가들

: 체 게바라의 사상을 따르는 소규모 그룹으로, 러시아인 루사코프, 아시아계 반자이, 아프리카계 막심, 백인 표도르와 개 한 마리로 구성되어 있다. 본래 레드 라인 소속이었으나 이념 차이 등으로 이탈하여 독자적으로 활동하며, 현재는 레드 라인과 제4제국 모두에 적대적이다. 작중 푸시킨스카야 역에서 파시스트에게 위협받던 주인공 아르툠을 돕는 등 긍정적인 면모를 보인다.

; 식인족

: 키옙스카야 역과 물리적으로 단절되어 고립된 승리 공원 역에 거주하는 집단이다. 극심한 식량 부족으로 인해 인접한 키옙스카야 역의 주민들을 납치하여 식인을 하는 야만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이들은 '위대한 뱀'이라는 존재를 숭배하는 독자적인 신앙 체계를 가지고 있다.

5. 개발

드미트리 글루호프스키, ''메트로 2033''의 작가


''메트로 2033''은 2005년경 설립된 우크라이나의 게임 개발사 4A 게임즈가 개발했다. 이 회사의 설립자들은 이전에 우크라이나의 주요 게임 스튜디오 중 하나이자 ''S.T.A.L.K.E.R.: 체르노빌의 그림자''를 제작한 GSC 게임 월드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다. ''S.T.A.L.K.E.R'' 출시 이후, 안드레이 프로호로프는 GSC 경영진과의 의견 차이로 회사를 떠나 4A 게임즈의 이사로 합류했다. GSC의 최고 경영자는 ''S.T.A.L.K.E.R'' 출시 후 전체 아트 팀을 해고했으며, 이들 대부분이 4A 게임즈로 이직하는 배경이 되었다.[10]

이 게임은 드미트리 글루호프스키의 동명 소설 메트로 2033을 원작으로 한다.[12] 글루호프스키는 로저 젤라즈니, 레이 브래드버리의 작품과 첫 번째 ''폴아웃'' 게임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11] 그는 출판 계약 제안을 받기 몇 년 전인 2005년에 소설 원고를 개인 웹사이트에 공개했고, 여러 게임 스튜디오가 그의 작품을 게임으로 만들고 싶다며 접근했다.[12] 글루호프스키는 자신의 ''메트로'' 세계관을 바탕으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것에 긍정적이었으며, 이를 "책이 영화화되는 것만큼 영광스러운 일"로 여기며 게임을 통해 소설의 독자층이 넓어지기를 기대했다.[13] 또한 게임화를 통해 자신은 다른 프로젝트에 집중하면서 ''메트로'' 세계관을 다른 전문가들에게 맡길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했다.[12]

글루호프스키는 최종적으로 4A 게임즈를 선택했는데, 그 이유로 개발팀이 소련 붕괴를 직접 경험하며 공유하는 "동유럽적 사고방식"을 가졌다는 점을 꼽았다. 또한 팀의 이전 작업 성과와 ''메트로''를 1인칭 슈팅 게임으로 만들겠다는 제안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 이는 소설이 비록 3인칭 시점으로 쓰였지만 주인공의 내면 생각을 잘 드러내기 때문이었다.[12] 글루호프스키는 4A 게임즈에게 상당한 창작의 자유를 주면서도, 게임이 원작의 이야기, 주제, 의미에 충실하도록 긴밀히 협력했으며, 러시아어 버전의 대화는 직접 다시 쓰기도 했다. 그에 따르면 ''메트로 2033''의 핵심 주제는 외국인 혐오증, 특히 신비로운 존재 '다크 원'에 대한 인간의 반응이다. 또한 젊은 주인공이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성장 이야기이기도 하다.[14] 게임에는 정치 풍자와 사회 비판, 특히 현대 러시아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담겨 있지만, 이것이 게임의 주된 초점은 아니다.[15] 게임은 원작과 달리 두 가지 엔딩을 제공하는데, 글루호프스키는 이를 플레이어에게 흥미로운 선택지를 제공하는 요소로 보았다.[13]

이 게임은 4A 게임즈가 자체 개발한 4A 엔진을 사용한다. 이 엔진은 이전에 ''S.T.A.L.K.E.R.'' 시리즈의 X-Ray 엔진 개발에 참여했던 프로그래머 올레스 시시코프초프와 올렉산드르 막심추크가 주도하여 개발했다.[16] GSC 측은 4A 게임즈가 X-Ray 엔진의 미공개 버전을 무단으로 사용했다고 주장했지만, 시시코프초프는 이를 반박했다. 그는 GSC의 엔진은 가정용 콘솔에서 작동하지 않지만 4A 엔진은 콘솔 환경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다는 점, 그리고 X-Ray 엔진에 대한 불만 때문에 개인 프로젝트로 4A 엔진 개발을 시작했고 이후 4A 게임즈 팀과 함께 확장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17][16]

4A 게임즈는 게임의 분위기와 스토리에 집중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으며, 특히 ''하프라이프 2''에서 많은 영감을 받았다.[18] 개발팀은 이러한 서사 중심적 접근이 ''S.T.A.L.K.E.R''나 ''폴아웃'' 시리즈 같은 다른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들과 차별화될 수 있기를 바랐다.[19] 프로듀서 휴 베이논은 모든 장면이 게임의 서사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이를 "영화적"이라고 표현했다.[20] 모든 주요 줄거리를 컷신으로만 전달할 수는 없었기에, 개발팀은 환경을 통한 이야기 전달 방식과 논 플레이어 캐릭터(NPC)들의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 몰입감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자 노력했다. 예를 들어, NPC들은 각자 일상적인 활동을 하며 서로 잡담을 나누기도 한다.[12] 또한 게임의 다양성, 진행 속도, 탐험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전투가 없는 조용한 순간들을 많이 포함시켰다.[14] 플레이어의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를 줄이기 위해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를 최소화했으며,[14] 대신 플레이어가 직접 주인공 아르툠의 일기장을 펼쳐 목표를 확인하는 등 환경 속에서 정보를 얻도록 유도했다.[21] 개발팀은 자원을 멀티플레이어 요소 없이 오직 싱글 플레이어 경험에만 집중하기로 결정했다.[14]

6. 평가

메트로 2033은 비평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리뷰 집계 사이트 메타크리틱에서는 PC 버전이 100점 만점에 81점을,[71] Xbox 360 버전이 77점을 기록하며 generally favorable reviews|eng를 받았다.[73] 이후 출시된 리덕스(Redux) 버전은 PC에서 90점을 받아 universal acclaim|eng을 기록했다.[72]

게임랭킹스(GameRankings)에서는 PC 버전 80.65%,[69] Xbox 360 버전 78.28%를 기록했다.[70] 주요 게임 매체들의 평가를 보면, 게임 인포머는 10점 만점에 9점을 주며 높은 점수를 부여했고,[75] 게임스팟은 10점 만점에 8.0점을 주었다.[77] 반면, IGN은 10점 만점에 6.9점을,[78] 1UP은 C+ 등급을 부여하며 다소 엇갈린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74] 게임프로는 5점 만점에 3.5점을 주었다.[76]

6. 1. 수상 내역

메트로 2033은 제14회 연례 D.I.C.E. 어워드에서 "최고의 스토리 업적"Outstanding Achievement in Storyeng과 "최고의 기술적 업적"Outstanding Achievement in Visual Engineeringeng 부문에 후보로 지명되었다.

7. 리덕스 버전

2014년 5월 22일, 속편인 ''메트로: 라스트 라이트'' 개발에 사용된 4A 엔진을 업데이트하여 적용한 리마스터 버전, ''메트로 2033 리덕스''가 발표되었다. 이 리마스터 버전은 향상된 조명 효과, 개선된 애니메이션, 입자 효과, 그리고 역동적인 날씨 표현 등 그래픽 개선이 이루어졌다. 또한, ''라스트 라이트''에서 선보였던 개선된 조작감, 전투 및 잠입 메커니즘, 향상된 인공 지능(AI) 등 게임 플레이 요소들이 ''2033 리덕스''에도 적용되었다. 소리 없이 적을 제압하는 기능, 무기 커스터마이징, 방독면을 닦는 기능 등 ''라스트 라이트''의 편의 기능도 추가되었다.[32]

''메트로 2033 리덕스''는 2014년 8월 26일 북미, 2014년 8월 29일 유럽 지역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플레이스테이션 4, Xbox One용으로 출시되었다.[33] 이 리마스터 버전은 ''메트로: 라스트 라이트 리덕스''와 함께 ''메트로 리덕스''라는 합본 패키지로도 발매되었다.[34] 두 리마스터 버전의 퍼블리싱은 딥 실버가 담당했다. 게임의 초반부(약 3분의 1 분량)를 체험해볼 수 있는 데모 버전은 2015년 6월 2일 플레이스테이션 4와 Xbox One으로 출시되었다.[35] 이후 ''메트로 2033 리덕스''는 2020년 2월 28일 닌텐도 스위치로, 2020년 6월 23일 스타디아로도 이식되어 출시되었다.[37]

8. 후속작

메트로: 라스트 라이트2013년 5월에 후속작으로 출시되었다.[68] (일본 발매는 같은 해 8월 1일) 이 게임의 이야기는 원작 소설의 후속작인 메트로 2034의 줄거리를 직접 따르지 않고, 오리지널 게임의 사건 이후를 다룬다.[61] 퍼블리싱은 본래 THQ가 맡았으나, THQ 파산 후 딥 실버가 권한을 인수했다.[62]

세 번째 작품인 메트로 엑소더스2019년에 출시되었다.[63]

또한, 본작과 메트로: 라스트 라이트를 PlayStation 4 및 Xbox One용으로 고화질화하여 하나로 묶은 메트로 리덕스도 개발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Metro 2033 And The Poetics Of Urban Agoraphobia https://killscreen.c[...] 2015-01-16
[2] 웹사이트 Metro 2033 https://www.theguard[...] 2010-03-26
[3] 뉴스 On Rails: Hands-On With Metro 2033 https://www.rockpape[...] 2010-02-04
[4] 웹사이트 Who needs a HUD? Metro: Last Light and the return to realism https://arstechnica.[...] 2013-07-16
[5] 웹사이트 5 Reasons to Have Metro 2033 on Your Radar https://www.ign.com/[...] 2010-02-24
[6] 웹사이트 Exploring the Depths of Metro 2033 https://www.ign.com/[...] 2010-02-05
[7] 웹사이트 Metro 2033: The return of 'proper' survival horror? https://www.gamesrad[...] 2009-12-01
[8] 웹사이트 Metro 2033 retrospective http://www.eurogamer[...] Eurogamer 2013-03-10
[9] 간행물 Moscow Underground https://content.time[...] 2013-07-29
[10] 웹사이트 Stalker Fallout: Polygon Traces the Exodus from Kiev's Legendary GSC Game World https://www.polygon.[...] 2013-09-08
[11] 웹사이트 Metro 2033 Interview https://www.ign.com/[...] 2012-05-09
[12] 간행물 A novel idea: How 4A is adapting Russia's smash-hit Metro 2033 https://www.mcvuk.co[...] 2010-01-04
[13] 웹사이트 Metro 2033: The Book's Author Discusses the Game, Multiple Endings, and Too Much Dialogue https://venturebeat.[...] 2010-03-31
[14] 웹사이트 Interview: Metro 2033's Dmitry Glukhovsky and Huw Beynon https://www.vg247.co[...] 2010-02-25
[15] 웹사이트 THQ's Huw Beynon talks Metro 2033 https://www.gamespot[...] 2010-03-16
[16] 웹사이트 Metrospective: 4A Games vs. Digital Foundry https://www.eurogame[...] 2010-02-20
[17] 웹사이트 4A Games dismisses Metro 2033 engine rumours https://www.gamesind[...] 2010-02-18
[18] 웹사이트 Metro Exodus and the developer that won't stop fighting https://www.polygon.[...] 2017-06-30
[19] 웹사이트 Metro 2033 focuses on story, setting and atmosphere https://www.destruct[...] 2010-01-26
[20] 웹사이트 Metro 2033: "It's not a horror game," says THQ https://www.vg247.co[...] 2010-03-05
[21] 웹사이트 Metro 2033: The Last Refuge - first look https://www.gamesrad[...] 2008-12-20
[22] 웹사이트 METRO 2033. The Last Refuge https://www.gamesind[...] 2006-08-17
[23] 웹사이트 The Californian sent to save Stalker: Shadow of Chernobyl from development hell https://www.eurogame[...] 2018-07-28
[24] 웹사이트 THQ Unveils Metro 2033 https://www.ign.com/[...] 2009-10-23
[25] 웹사이트 Metro 2033 not coming to PS3 because of business https://www.destruct[...] 2010-02-25
[26] 웹사이트 Steam: Pre-order Metro 2033, get Red Faction Guerrilla free https://www.engadget[...] Engadget 2010-02-05
[27] 웹사이트 THQ announces Limited Edition for Metro 2033 https://www.vg247.co[...] 2010-02-09
[28] 웹사이트 Metro 2033 ticketed for 16 March https://www.gamespot[...] 2010-01-28
[29] 웹사이트 Production on Metro 2033 DLC has started, multiplayer not possible https://www.vg247.co[...] 2010-03-17
[30] 간행물 Metro 2033 DLC Hitting Steam And Xbox Live Next Week https://www.gameinfo[...] 2010-07-30
[31] 웹사이트 THQ's Bilson: Metro 2033 'wasn't properly nurtured,' sequel to address issues https://www.engadget[...] Engadget 2011-01-14
[32] 뉴스 Rail Replacement: Metro 2033 & Last Light Revamped https://www.rockpape[...] 2014-05-22
[33] 웹사이트 Metro: Redux release date announced http://www.ign.com/a[...] 2014-06-24
[34] 웹사이트 Metro 2033 and Metro: Last Light coming to Xbox One, PS4, and PC for $25 each http://www.gamespot.[...] CBS Interactive 2014-05-22
[35] 웹사이트 Metro Redux titles now offer lengthy free demos http://www.eurogamer[...] 2015-06-02
[36] 웹사이트 "'Metro Redux' is coming to Nintendo Switch 28 February" https://www.engadget[...] 2020-01-16
[37] 웹사이트 This Week on Stadia: Free games headed to Pro … and much more. https://community.st[...] 2020-06-23
[38] 웹사이트 Metro 2033 for PC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10-03-16
[39] 웹사이트 Metro 2033 for Xbox 360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10-03-16
[40] 웹사이트 Metro 2033 Review for the PC, Xbox 360 from 1UP.com http://www.1up.com/d[...] 2010-03-22
[41] 웹사이트 Review: Metro 2033 https://www.destruct[...] 2011-01-30
[42] 웹사이트 Metro 2033 review: No Picnic https://www.eurogame[...] 2011-09-19
[43] 간행물 Metro 2033: A Dreary Subway Ride Well Worth Taking https://www.gameinfo[...] 2010-03-16
[44] 간행물 Metro 2033 Review http://www.gamepro.c[...] 2011-06-07
[45] Youtube Metro 2033 Review https://www.youtube.[...] GameTrailers 2016-06-03
[46] 웹사이트 Metro 2033 Review https://www.giantbom[...] 2010-03-23
[47] 웹사이트 Metro 2033 Review: From Russia with Love https://www.gamesrad[...] 2010-03-13
[48] 웹사이트 Metro 2033 Review https://www.gamespot[...] 2010-03-18
[49] 웹사이트 Metro 2033 Review https://www.ign.com/[...] 2010-03-19
[50] 웹사이트 Metro Redux reviews http://www.ign.com/a[...] 2014-08-19
[51] 웹사이트 Review: Metro 2033 https://www.engadget[...] Engadget 2010-03-16
[52] 웹사이트 Metro 2033 Review https://www.videogam[...] 2010-03-19
[53] 웹사이트 Metro 2033 UK Review https://www.ign.com/[...] 2012-05-09
[54] 웹사이트 D.I.C.E. Awards By Video Game Details Metro 2033 https://www.interact[...] Academy of Interactive Arts & Sciences 2010-03-16
[55] 웹사이트 Metro Redux reviews http://www.ign.com/a[...] 2014-08-19
[56] 웹사이트 Metro: Redux Review https://www.pcgamer.[...] 2014-08-20
[57] 웹사이트 UK charts: God of War III at No. 1 https://www.eurogame[...] 2010-03-22
[58] 웹사이트 Metro 2033 has been 'very profitable' for THQ, CEO says https://www.engadget[...] 2010-05-06
[59] 웹사이트 Metro 2033 sales reach 1.5 million https://www.engadget[...] Engadget 2012-06-05
[60] 웹사이트 Metro Redux Sells 1.5 Million Copies http://www.gamespot.[...] 2015-04-15
[61] 웹사이트 "Not your regular game story" – writing Metro: Last Light http://www.vg247.com[...] VG 24/7 2013-05-08
[62] 웹사이트 How Saints Row and Metro ended up with Koch Media http://www.gamasutra[...] 2013-02-05
[63] 간행물 Metro Exodus brings its release date forward by a week https://www.pcgamer.[...] 2018-12-13
[64] 서적 メトロ2033(下) 小学館 2011
[65] 서적 メトロ2033(上) 小学館 2011
[66] 웹사이트 Metro 2033 (novel) http://metro2033.wik[...] Metro 2033 Wiki(海外Wikia) 2011-05-07
[67] 웹사이트 『メトロ2033』日本語版の主要キャラクタ担当声優を公開 http://www.gpara.com[...] ジーパラドットコム 2010-04-05
[68] 웹사이트 Going underground – Metro: Last Light revealed in London http://www.vg247.com[...] VG247 2011-05-31
[69] 웹인용 Metro 2033 for PC http://www.gameranki[...] GameRankings 2010-03-16
[70] 웹인용 Metro 2033 for Xbox 360 http://www.gameranki[...] GameRankings 2010-03-16
[71] 웹인용 Metro 2033 (pc) reviews at Metacritic.com http://www.metacriti[...] 2010-03-20
[72] 웹인용 Metro 2033 Redux (PC) reviews at Metacritic.com http://www.metacriti[...] 2015-02-09
[73] 웹인용 Metro 2033 (xbox360) reviews at Metacritic.com http://www.metacriti[...] 2010-03-20
[74] 웹인용 Metro 2033 Review for the PC, Xbox 360 from 1UP.com https://archive.toda[...] 2010-03-23
[75] 웹인용 A Dreary Subway Ride Well Worth Taking – Metro 2033 – PC https://web.archive.[...] www.GameInformer.com 2013-07-20
[76] 웹인용 Metro 2033 Review from GamePro http://www.gamepro.c[...] 2013-07-20
[77] 웹인용 Metro 2033 Review http://www.gamespot.[...] GameSpot 2010-03-18
[78] 웹인용 Metro 2033 Review http://www.ign.com/a[...] IGN 2013-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